-
네이버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했다.
https://www.ncloud.com/guideCenter/guide/1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서버 생성
나는 테스트용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classic platform에서 서버타입은 Micro, 서버이미지는 centos-7.2-64를 사용했다.
아래 명시된 대로 서버 비용만 무료로 1년 제공하고, 나머지는 과금된다.
Micro는 SSD를 제공하지 않는다.(고성능 I/O가 필요한 서비스는 SSD를, 일반적인 서비스는 HDD)
그리고 포트포워딩이나 공인 IP를 사용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다.
공인 IP 설정
어떤 서버에도 연결될 수 있는 고정된 IP 주소를 제공하는 공인 IP를 생성하였다.
생성하면서 적용서버에 만들어둔 서버를 선택하면 맵핑된다.
서버 접속하기
macOS에서 ssh로 접속하는 방법
chmod 400 </path/to/pem-key> ssh -i </path/to/pem-key> sshuser@<cluster-domain>
https://guide.ncloud-docs.com/beta/docs/hadoop-chadoop-3-2
SSH로 클러스터 노드 접속
guide.ncloud-docs.com
외부 포트가 비워져 있었는데
포트포워딩 정보 추가해서 사용할 포트를 설정해주었다.
ssh [유저명]@[호스트] -p [설정한포트]
예시 ) ssh root@100.00.100.00 -p 50000
로 접속했고 비밀번호는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하는 부분에서 pem키를 입력하여 확인 한 부분을 입력해 주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었다.
비용 체크하기
마이페이지 > 서비스 이용 현황 > 서비스 이용 내역 > 이용월 선택
3월 14일 캡쳐 서비스 이용 비용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인줄 알았는데 오늘 사용한 금액은 다음날 나오는 것 같다.
classic micro 사용후기
장점은 금액적인 부분
1년간 무료라는 특장점
Cloud DB for MySQL 같은 경우는 설치했다가 거의 바로 지웠는데도 요금이 나왔다.
단점은 알고 있었지만 스펙에 걸맞은 속도
뭐 하나 설치하려고 하면 한참 걸린다.
도커는 당연히 많이 힘들어한다.
자본주의의 순리다..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면
mysql이 설치된 micro 서버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해서 사용하면 작은 프로젝트를 1년간은 돌릴 수 있겠다.
ncloud는 신규가입자에게 10만 원의 크래딧 주고 있고 크래딧 적용범위가 적지 않다. (작성일 기준)
그래서 여러 서비스 체험해 보기엔 좋을 듯하다.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에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띄우기(scp, CentOS) (0) 2023.03.14 CentOS 설치 후 자바 설치하기 (0) 2023.03.14 jpa dto와 entity 빌더 패턴으로 변환하기 (0) 2023.03.11 Github Actions 설정하며 겪은 문제들 (gradle) (0) 2023.03.10 더 나은 entity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 (0) 2023.03.08 댓글